KIP17 토큰 발행

May 29, 2024
KIP17 토큰 발행
ERC 721- NFT의 스탠다드. NFT라고 불리는 것들은 대부분 이 형식을 따라간다.
KIP 17- 사실상 ERC 721과 거의 동일하다.
ERC20 + 토큰ID+메타데이터 json
토큰 ID -NFT에 붙는 개별 식별 번호, '겹치지 않게 하기 위해서'
메타데이터 json - NFTF를 담는 그릇이라고 생각하자.
IPFS - 분산 저장소, 위변조가 불가능하며, 블록체인과 비슷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토큰ID, 메타데이터 json을 블록체인 위에 올리는 것이 비용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IPFS(분산저장소)에는 블록체인에 가는 경로를 넣는다.

과정

1) 이미지를 ipfs에 올린다.
2) metadata JSON 파일을 ipfs에 올린다.
3) KIP 17 코드를 블록체인에 올린다.
4) NFT를 민트하자.
5) 클레이튼 스코프 & OpenSea에서 확인한다.
준비물
  • 소스코드/NFT이미지/메타데이터.json 파일
  • Pinata API
  • Kaikas
  • 테스트 클레이
  • Klaytn IDE
  • Klaytnscoe / -opensea
  • ------------------------------------------------------------------------------------------------------------
1) 소스코드
2) 이미지
3) Metadata.json 파일도 준비 됨
4) 밑에 주소에서 테스트 클레이를 받는다.
5)클레이튼 리믹스에 들어간다.
6) Pinata에 이미지를 넣고, CID 값을 복사한 다음에, metadata.json에
"image" : "ipfs:// 넣은 이미지 CID 값을 넣음 "
name이나, 설명도 변경이 가능하다. 위에 attribute도 바꿀 수 있다.
attribute를 추가하고자 한다면, curly bracket안에 추가로 더 넣으면 된다.
contract CoinReaserchNFT is KIP17Full, KIP17MintableOwnable, KIP17MetadataMintableOwnable, KIP17Burnable, KIP17Pausable { constructor (string memory name, string memory symbol) public KIP17Full(name, symbol) { } }
마지막 줄에, contract 뒤 이름만 바꿔주면 확인하기 쉬움.
MintwithTokenURI를 누른다.
to: 본인 id를 넣고
tokenID: NFT를 여러가지로 찍었을 떄, 한 코드에서 파생되는 것을 어떻게 구분하냐? 토큰 아이디로 구분한다. 단순하게 숫자만 넣어도 된다.
tokenURI: json파일에 cid를 넣으면 된다. 단, ipfs://  metadata.json CID 입력   ""안 넣어도 된다.
클레이튼 스코프(바오밥으로 변경)
후에, 본인 지갑 id를 보면, 확인이 가능하다.
들어간 다음에, klaytn 지갑에서 정보를 확인해 보면, 확인이 가능하다.
Share article

정리한 노션 내용을 올리는 공간